정부 지원 및 복지 사업을 온라인으로 신청하려면, 먼저 복지로, 정부 24 등의 공공기관 누리집에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요. 로그인 과정에서 'TOUCHENEX 라이선스를 확인하세요'라는 오류 팝업창이 뜨면서 키보드 입력이 먹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특히 맥(Mac) 컴퓨터 사용자라면 이와 같은 터치엔엑스 (TOUCHENEX) 오류 때문에 공공기관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두려울 정도라고 말하는 댓글도 여기저기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보안 프로그램의 모듈인 터치엔엑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봅니다. 맥 사용자 입장에서 정부 사이트를 안정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팁을 중심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TOUCHENEX란 무엇인가요?
TOUCHENEX는 국내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널리 사용하는 보안 모듈입니다.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암호화하고, 인증서 보안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Windows)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맥 컴퓨터에서는 호환성 이슈가 자주 발생합니다.
2. 자주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와 원인
🔸 대표 오류 메시지
- “TOUCHENEX 라이센스를 확인하세요”
- “TOUCHENEX Safari 플러그인 활성화 설정이 필요합니다."
- “시스템 확장 프로그램 차단됨"
🔸 원인 분석
- 말그대로 TOUCHENEX 라이선스가 만료되었거나,
- 현재 사용하는 맥 컴퓨터나 브라우저 버전이 지원되지 않거나,
- 터치엔엑스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 브라우저 또는 맥 컴퓨터의 보안 설정이 실행을 차단하는 경우입니다.
3. Mac에서 문제 해결 방법
🔸 1단계: 구글, 네이버에서 공공기관 사이트 주소를 검색하여 접속 시도
- 해당 방법을 시도해도 동일한 “TOUCHENEX 라이센스를 확인하세요” 오류가 나올 경우 솔루션 개발사(라온시큐어 1644-4128)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빨리 해결해야 할 경우, 터치엔엑스를 삭제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3단계에 나오는 삭제 방법을 참고하세요.)
🔸 2단계: Mac 및 브라우저에 대한 지원 환경 확인
- Mac 홈 화면 메뉴 > > '이 Mac에 관하여' -> 맥 컴퓨터 버전 확인
- OS X 10.7 이하 버전은 터치엔엑스 미지원
- 브라우저도 Safari, Chrome 및 버전에 대한 지원 환경 확인 필요
- 지원 환경이 아니라면 터치엔액스 삭제 필요
🔸 3단계: 기존 TOUCHENEX 삭제
- 맥 PC의 Finder -> 응용 프로그램 -> TouchEN nxKey 폴더 -> TKUninstall
-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 관리 화면으로 이동
- 아래 화면과 같은 확장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
TouchEN PC보안 확장 프로그램
🔸 4단계: TOUCHENEX 재설치 (지원 환경일 경우)
- 아래 링크를 통해 Mac 버전 TOUCHEN를 설치합니다. 설치 파일 다운로드
- 설치 후, 브라우저를 완전히 종료하고 재실행
🔸 5단계: 보안 설정 허용 (지원 환경일 경우)
- 시스템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일반
-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의 앱 차단’ 메시지 아래 ‘허용’ 클릭
- 그래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아래 브라우저 보안 설정 방법 시도
4. 그래도 안 될 때는?
간혹 최신 맥 컴퓨터 버전에서는 호환되지 않아 아무리 시도해도 설치 및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아래 대안을 추천드립니다.
- Windows PC를 이용해 공공기관 사이트에 접속
- 모바일 앱 이용 – 공공 인증서 로그인 가능
- 정부24, 국민비서 등의 연계 서비스로 접근
마무리: 맥 컴퓨터 사용자라면 알아야 할 공공기관 이용 팁
정부 사이트들은 여전히 윈도우 기반의 보안 환경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맥 컴퓨터 환경에서는 종종 호환성 문제가 발생합니다. 복지로, 홈택스, 국민연금, 건강보험공단 등 주요 사이트들은 모두 터치엔엑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체 브라우저 사용과 보안 예외 설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글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라온시큐어 웹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